728x90
반응형
SMALL
1. 주식 정보
- 종목: NAVER
- 현재가: 226,000원
- 전일 대비: +1,000원 (0.4% 상승)
2. 차트 주요 내용
- 차트 종류: 캔들(봉) 차트
- 기간: 일봉(하루 단위로 주가 변화 표시)
- 이동평균선:
- 여러 가지 기간(120일, 60일, 20일, 5일)이 같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평균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어, 추세를 파악하기 쉽게 해줍니다.
3. 최근 흐름
- 최고점: 298,000원까지 올랐다가 현재는 주가가 내려감.
- 최저점: 180,000원까지 내려간 적 있음(5월 26일).
- 최근: 조정(내림세)이 있은 뒤, 현재는 226,000원에서 횡보(주변에서 등락 반복)하는 모습.
4. 해석 포인트
- 전고점(최고 가격) 대비 현재 가격은 많이 하락한 상태(대략 -24% 정도).
- 이동평균선들이 모이고 있는데, 이는 추후 추세 변화(상승 혹은 추가 하락)의 신호가 될 수 있음.
- 거래량: 6~7월에는 거래가 많았고, 최근에는 거래량이 적은 편.
- 빨간 막대그래프: 해당 날짜의 종가(마감가)가 전일 대비 상승했을 때의 거래량
- 파란 막대그래프: 해당 날짜의 종가가 전일 대비 하락했을 때의 거래량
즉,
- 빨간색 → "주가가 올랐는데, 거래가 이만큼 있었다"
- 파란색 → "주가가 내렸는데, 거래가 이만큼 있었다"
현재 차트에서 보면 6월~7월 초기에는 빨간 막대가 많았고, 최근에는 파란 막대가 많아져서 하락 기간의 거래량이 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6월~7월 초: 강한 상승 + 높은 거래량(빨간 막대 다수)
- 주가가 급등하던 시기입니다.
- 많은 투자자들이 매수에 참여했고, 단기 차익을 노린 매매가 활발했습니다.
- 이때 거래량이 급증했다는 건, 관심과 참여가 매우 높은 시기였다는 의미입니다.
2. 7월 중·후반: 하락 전환 + 거래량 감소
- 빨간 → 파란 막대가 점점 늘어나고, 전체 거래량이 줄어듭니다.
- 이는 매수세가 약해지고,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을 하고 떠났다는 신호입니다.
- ‘관망세’로 들어가는 시기였죠.
3. 8월 초~현재: 횡보 + 거래량 부진
- 파란 막대가 많지만 거래량 자체는 크게 줄어 있습니다.
- 투자자 심리: “큰 하락은 없어 보이지만, 당장 오를 것도 없다” → 매수·매도 모두 적극적이지 않음.
- 이동평균선들이 모이는 구간으로, 곧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 단기 매수 타이밍 시나리오
조건
- 주가가 226,000원 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거래량이 늘어나며 **빨간 막대(상승 거래량)**가 나타날 때
- 5일선(녹색)이 20일선(빨간색)을 상향 돌파할 때
전략
- 223,000원~225,0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시작
- 거래량 증가 확인 후 추가 매수
- 단기 목표가: 235,000원~240,000원 구간
- 손절라인: 220,000원 이탈 시
📌 2. 추가 하락 대비 시나리오
조건
- 거래량이 갑자기 늘었는데 파란 막대(하락 거래량)가 크게 나오는 경우
- 223,500원(120일선) 강한 지지선 이탈
전략
- 추가 매수 중단 및 일부 현금 보유
- 210,000원~215,000원 구간에서 다시 매수 기회 탐색
- 반등 시 225,000원 부근에서 일부 매도
💡 현재 심리 판단
- 거래량이 적고 이동평균선이 모이고 있음 → 곧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음
- 빨간봉 + 거래량 증가 나오면 단기 매수 기회
- 파란봉 + 거래량 급증이면 방어 자세 필요
4. 종합 심리 해석
- 과거의 매수 열기 → 식음 (거래량 감소)
- 현재는 ‘기다림’ 단계
- 거래량이 다시 급증하면서 빨간 막대가 나오면 상승 신호가 될 수 있고,
반대로 거래량 급증 + 파란 막대면 추가 하락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