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창업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게 맞는 방향일까?” 고민하실 텐데요.
스타트업 90%가 실패하는 현실 속에서, 그나마 성공 확률을 높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실패를 줄이는 것’이에요.
그래서 준비했어요!
실패하지 않는 창업을 위한, 초기 창업자가 꼭 피해야 할 실수 12가지 체크리스트.
단계별로 아이디어 → 팀 구성 → 사업 운영 → 자금 관리 → 성장 전략까지 꼼꼼히 담았으니,
하나씩 확인해보시고 지금 상황과 비교해보세요!
초기 창업자가 피해야 할 실수 체크리스트
[아이디어·시장 분석 단계]
1. “내가 만들고 싶은 것”만 생각하고, 고객의 문제는 놓친다.
• 시장에 정말 수요가 있는지, 고객은 이 문제를 얼마나 절실하게 느끼는지 확인했나요?
2. 경쟁 분석을 대충 넘기거나, 없다며 안심한다.
• 진짜 경쟁자는 비슷한 스타트업이 아니라, 이미 고객이 쓰고 있는 기존 방식일 수도 있어요.
3.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만들려 한다.
• MVP(최소 기능 제품)를 테스트하기 전부터 큰 비용을 쓰며 개발하지 않았나요?
[팀 구성 단계]
4. 가까운 사람(가족, 친구)과 역할 없이 동업한다.
• 책임 분배가 불분명하면 감정 싸움으로 팀이 무너질 수 있어요.
5. 기술력은 있는데 비즈니스 감각이 부족하다, 또는 그 반대다.
• 기술과 사업, 마케팅 등 핵심 기능이 균형 잡힌 공동창업자가 있나요?
6. ‘사람 좋다’는 이유로 직원을 뽑는다.
• 초기 멤버는 역량, 책임감, 가치관까지 꼼꼼히 봐야 해요. 채용은 투자보다 중요해요.
[사업 운영 단계]
7.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하지 않다.
• 수익 구조, 유료화 전략이 불분명한 채 ‘일단 유저 늘리자’는 전략만 고수하고 있나요?
8. 고객 피드백을 무시하거나 불편한 소리를 외면한다.
• 클레임은 성장의 힌트입니다. 고객의 ‘불만’을 데이터로 보세요.
9. 모든 걸 직접 하려 한다.
• 창업자는 ‘실행자’가 아니라 ‘디렉터’예요. 반드시 우선순위를 정하고, 위임할 줄 알아야 해요.
[자금 및 투자 관리 단계]
10. 수익보다 투자에만 집중한다.
• 투자 없이도 최소한 생존 가능한 구조인지 점검하고, 과도한 외부 자본 의존을 경계하세요.
11. 돈이 어디에 얼마나 쓰이고 있는지 모른다.
• 월 고정비, CAC(고객 획득 비용), Burn Rate(현금 소모 속도)를 모르고 있다면 위험해요.
[성장 전략 단계]
12. 피벗(전략 전환)을 실패로 여긴다.
• 시장이 변하면 방향도 바꿔야 해요. 고집은 열정이 아니라 리스크입니다.
보너스 Tip: 이런 질문으로 자가 점검해보세요
• “우리는 고객이 진짜 원하는 걸 해결하고 있나?”
• “돈이 떨어져도 3개월은 버틸 수 있을까?”
• “우리 팀은 서로 믿고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가?”
• “나는 이 사업을 ‘10년짜리 이야기’로 생각하고 있는가?”
정리하자면,
스타트업의 초기는 ‘정답’보다 ‘실수하지 않는 법’을 아는 게 훨씬 중요해요.
이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매달 한 번씩 팀과 자가점검하시면
작은 리스크들을 줄이며 더 멀리 나아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