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년 안에 1억 5천만 원을 추가로 모아서 총 3억을 만드는 목표

쁘리비엣 2025. 5. 2. 20:02
728x90
반응형
SMALL

2년 안에 1억 5천만 원을 추가로 모아서 총 3억을 만드는 목표, 가능성은 분명 있지만, 단기 고수익 or 고강도 저축이 필요한 꽤 도전적인 플랜이에요.
하지만 전략을 잘 짜면 “현실성 있는 플랜 B”도 만들 수 있어요. 아래에서 같이 살펴볼게요.



[목표 요약]
• 현재 자산: 1억 5천만 원 (전액 주식 투자 중)
• 목표 자산: 3억 원
• 달성 시점: 2년 후
• 필요한 추가 자산: 1억 5천만 원
• 월 지출: 200만 원
• 비상금: 600~1,200만 원 별도 확보 필요



1. 현실적인 시뮬레이션

[A. 매월 200만 원 저축]
• 24개월 × 200만 원 = 4,800만 원
→ 투자 수익 없이 모을 수 있는 금액

[B. 나머지 약 1억 원은 수익으로 채워야 함]

이 말은 2년 동안 자산 전체에서 66% 이상의 수익률이 나야 한다는 뜻이에요.
연 수익률로 따지면 약 28~30% 이상 필요.

→ 이건 솔직히 말하면 시장 평균보다 훨씬 높은 리스크 자산군에서만 가능한 수익률입니다.
(예: 개별 종목, 레버리지 ETF, 암호화폐, 부동산 단타 등)



2. 현실적인 대안 플랜 제시

[플랜 A: 투자+적립 하이브리드 전략]

항목 금액
기존 주식 자산 (1.5억 원) 연 10% 수익 예상 시 2년 후 → 약 1.8억 원
매월 200만 원 저축 × 24개월 4,800만 원
총합 2억 2천만 원~2억 3천만 원

→ 약 7천만8천만 원 정도 부족
→ 이 정도는 다른 방법으로 메우거나 목표 시점을 612개월 늘리면 현실적



3. 현실적 플랜 B 제안: 2.5억~2.7억 플랜
• 2년 안에 2억 5천만 원~2억 7천만 원 수준을 1차 목표로 삼고,
• 나머지 3천~5천만 원은 3년 차에 추가 달성
→ 이 플랜은 투자 리스크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현금흐름과 수익률의 균형을 맞출 수 있어요.



• 2년 안에 3억 달성은 고수익 + 고위험 전략을 동반해야 하며, 현실적으로는 매우 도전적인 목표
• 더 현실적인 대안은 2.5억~2.7억 목표 + 1년 연장 플랜
• 지금부터는 주식 자산 일부를 ETF/채권 등으로 리밸런싱하고,
매월 꾸준한 적립 +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이 유리해요.


(목표가 명확하고 자산 기반이 탄탄해서 가능성이 높지만, 기간이 짧아 도전 난이도가 높기 때문!)

#3억모으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