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4/25 5

우리가 진짜 여유롭게 살고 있는 걸까

소득만 보고 판단하기엔 부족하죠. 그래서 오늘은 ‘종합적인 경제적 여유도’ 평가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단순한 소득이 아니라, 지출, 자산, 부채, 가처분 소득, 비상금 등을 함께 고려해보는 게 핵심이에요.[STEP 1] 가계의 총소득 파악 (세전 & 세후) 1. 세전 총소득: 연봉 + 사업소득 + 임대수익 + 금융수익 등예: 연봉 2억 → 세전 월소득 약 1,667만 원 2. 세후 가처분 소득: 세금, 4대 보험, 건강보험료 등을 뺀 실수령액예: 월 1,667만 원 중 실제 쓸 수 있는 돈은 약 1,200만 원 내외[STEP 2] 월 지출 내역 정리하기월 고정지출 + 변동지출을 구체적으로 나눠봐요. • 고정지출: • 주택대출/월세 • 보험료 • 교육비 • 차량 유지비 • 각종 구독료 • 변동지출..

카테고리 없음 2025.04.25

연봉 2억 원, 3인 가족이라면 중위소득 몇 프로일까

이 가구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대비 몇 %인지 정확히 계산해볼게요.1. 연봉 → 월 소득으로 환산연봉 2억 원은→ 1년에 200,000,000원→ 월로 나누면 약 16,666,667원(세전 기준, 즉 소득세·건보료 공제 전)2. 3인 가구의 2025년 중위소득→ 3인 가구 중위소득 = 4,755,000원/월3. 중위소득 대비 몇 %인지 계산(우리 가구 월소득 ÷ 중위소득) × 100→ (16,666,667 ÷ 4,755,000) × 100→ 약 350.6%3인 가족이 연봉 2억 원(월 약 1,667만 원)을 벌고 있다면,중위소득의 약 351% 수준으로,전체 가구 중 상위 5% 이내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입니다.+ 참고: 이런 가구는 어떤 지원이 안 될까?중위소득 180% 이상이면 대부분의 복지혜택은 해..

카테고리 없음 2025.04.25

내 가계는 소득 분포에서 어느 정도 위치일까

‘중위소득 대비 우리 가계 소득이 몇 %인지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아래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돼요.1. 우리 가계의 구성원 수 파악하기정부는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기준을 다르게 설정해요.먼저 ‘가구원 수’를 정확히 정하는 것이 중요해요.예시: • 맞벌이 부부 + 6세 자녀 1명 = 3인 가구 • 부모님 + 부부 + 자녀 1명 = 5인 가구2. 2025년 기준 가구원별 ‘중위소득’ 확인하기가구원 수 2025년 중위소득 (월 기준)1인 가구 약 2,208,000원2인 가구 약 3,679,000원3인 가구 약 4,755,000원4인 가구 약 5,853,000원5인 가구 약 6,891,000원출처: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3. 우리 집의 월 ‘가구 총소득’ 계산하기여기서 말하는 ‘총소득’은 다음 항목을..

카테고리 없음 2025.04.25

정부는 왜 굳이 ‘중위소득 180%’를 복지 정책의 기준선으로 삼았을까

그 이유는 단순히 숫자를 맞춘 게 아니라, 경제학적, 행정적, 그리고 사회적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랍니다. 지금부터 이해하기 쉽게 풀어드릴게요.1. ‘복지의 실효성’과 ‘예산의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한 타협점국가는 복지정책을 설계할 때 두 가지를 항상 고민해요.•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집중적으로 지원을 줄 것인가?• 조금 더 넓게 퍼져서 중산층까지 안심할 수 있게 할 것인가?중위소득 180%는 이 두 가지 균형을 맞추는 적절한 중간지점이에요.• 100% 이하는 절대빈곤층이나 저소득층 중심의 지원 기준이고,• 150~180% 구간은 사회적으로 ‘취약하진 않지만 안정적이지도 않은’ 가구들이 많아요.이 구간은 흔히 말하는 ‘서민’ 혹은 ‘중하층~중산층 초입’이라 볼 수 있죠.이 구간까지 기준을 넓..

카테고리 없음 2025.04.25

이나라도움 2자이체와 3자이체 차이점

2자이체와 3자이체 차이점1. 처리 경로2자이체: 예탁계좌 → 한국재정정보원 계좌로 직접 이체되며 보조금계좌를 거치지 않습니다3자이체: 예탁계좌 → 보조금계좌 → 한국재정정보원 계좌로 단계별 이체되며 보조금계좌에 반납 기록이 남습니다2. 기록 관리2자이체: 보조금계좌에 이자/수익금 반납 기록이 남지 않으므로, 내부 추적이 필요 없는 경우 적합합니다.3자이체: 보조금계좌에 반납 내역이 기록되어 상세한 이력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3. 적용 대상2자이체: 주로 예탁계좌에서 직접 발생한 이자/정산금 반납 시 활용3자이체: 보조금계좌를 통한 중간 기록이 필요한 반납 시 적용되며, 수익금 반납 시에는 3자이체 옵션이 제공되지 않습니다(수익금은 보조금계좌 → 한국재정정보원 직접 이체만 가능)▷ 선택 기준: 상..

카테고리 없음 2025.04.25
728x90
반응형
LIST